1.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의 컴퓨터 리소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컴퓨팅 파워,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기타 IT 리소스를 온디맨드로 제공받으며 인터넷에서 종량 요금제 방식으로 필요한 만큼 리소스에 거의 바로 액세스 할 수 있고, 사용한 부분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한다.

2.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IaaS, PaaS, SaaS - 출저

IaaS, PaaS, SaaS

  • IT 인프라의 여러 필요한 구성 요소 중 예전에는 모두 사용자가 관리해야만 했지만, 이제는 일정 부분을 클라우드에서 내려받는 형태가 많이 도입되었다.
  • 얼마만큼 사용자가 관리하고 얼마만큼 클라우드에서 제공받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나누어 진다.
  •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데로 노란색의 You manage는 사용자가 관리해야 할 부분이고, 흰색의 Managed by vendor는 기업(클라우드)에서 관리해주는 부분이다.

 

  1. Packaged Software
    • 그림과 같이 직접 인프라, 플랫폼, 어플레케이션까지 모두 구성하여 관리하는 모델
    • 컴퓨터를 사서 직접 전부 설치하는 경우
  2. IaaS (Infrastructrue as service)
    • 그림과 같이 Infrastructure 레벨의 물리적인 컴퓨팅 리소스와 가상화 기술만 제공하는 서비스
    • 사용자는 OS를 선택하여 올리고 그 상위 계층만 신경 쓰면 되는 모델
    • AWS의 EC2를 사용하는 경우
    • 개발자와 인프라 관리자의 역할을 분담시킬 수 있음
  3.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플랫폼 및 환경을 제공하는 모델
    • 인프라를 모니터링 하거나 OS 딴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집중할 수 있다.
    • IaaS는 VM 머신이나 물리적인 컴퓨팅 자원을 제공한다면, PaaS는 NodeJS, Java와 같은 런타임 프로그램을 미리 깔아놓고 거기에 소스코드를 넣어서 돌리는 구조.
    • Heroku, Google App Engine이 이에 해당
    • 플랫폼에 종속된다는 단점이 있음
  4. SaaS (Software as a service)
    • 모든 것을 기업(클라우드)에서 제공함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설치나 부담이 필요 없이 SW를 사용 가능
    • 소비 관점에서 제공되는 IT 방식의 서비스로 정리할 수 있다. 
    • 사용자는 개발이나 구성을 신경 쓸 필요 없이 웹만 접속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쉽다.
    • MS 오피스 365, 드롭박스, 카카오톡이 이에 해당

 

요약

한 단어로 설명한다면?

 

3.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 모델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상에 완전히 배포되며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부분이 클라우드에서 실행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배포는 클라우드 기반 리소스와 클라우드에 위치하지 않은 기존 리소스 간에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방법. 가장 흔한 하이브리드 배포 방법은 클라우드와 기존 온프레미스 인프라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임.

 

온프로미스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프라이빗하게 요청이 올 때마다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온프레미스 배포 모델은 리소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가상화 기술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레거시 IT 인프라와 같다.

 

 

참고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리스  (0) 2023.09.05
하드디스크를 가상 메모리로 사용하기 (Swapping, AWS freetier)  (0) 2022.01.12

+ Recent posts